탑 아이콘

화인 심리상담센터

커뮤니티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 Sex 중독의 심리
관리자
2019-05-17      조회 189   댓글 0  
이메일주소 jjj@newbreed.co.kr


(단국대학교 신문에 연재한 글입니다.)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Sex 중독의 심리


 

 

Dallas Buyers Club은 AIDS에 대항하는 인간승리를 다룬 영화다.

그러나 내면적으로는 부모 사랑의 결핍이 한 인간을 어떻게 파탄시키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인간의 존엄한 생명을 담보로 법을 제정하고 담합과 부조리를 저지르고 있는 FDA(미국 식품의약국)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저질적인 의사집단 그리고 잘못된 의료체계에 당하는 힘없는 자들이 

기다리고 있는 죽음의 세계를 보고 있노라면,

착한 가면을 쓰고 있는 추악한 인간들의 내면을 보는 것이 두려워 진다.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은 올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과 조연상을 수상하였으며

실화實話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가 탄탄한 영화다.

론 우드루프(매튜 맥커너히)는 AIDS에 감염된 이후 병원에서 30일 밖에 살 수 없다는 시한부 생명 선고를 받는다.

그러나 그들의 무지한 호의와 치료법을 거절하고 자기 의지대로 치료하며 7년을 더 살다 가는 사람이다.

그는 남자다움의 대명사인 카우보이 복장과 위험한 스포츠인 로데오를 광적으로 좋아 한다.

물론 섹스와 술과 노름 그리고 마약은 일상생활이다.

그는 남자답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동성애에 대하여 지극한 혐오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표면적으로만 보면 상남자 중에 상남자인 Macho라고 불릴만하다.

그런 그가 호모들만이 걸리는 병이라고 생각했던 AIDS에 걸리고 말았으니 심리적인 충격이 극심해 진다.

 

마초는 남자라는 뜻을 가진 스페인 말이다.

다듬어지지 않은 야성미나 넘치는 남자다움을 뜻하지만 거칠고 힘만 앞세우며 

덤비는 단순 무식한 성격을 뜻하기도 한다.

이 영화 속에 주인공인 론 우드루프의 성격을 표현하기에 이 보다 더 적합한 단어는 없을 정도다.

AIDS로 죽어가는 주인공의 삶을 설명하기 위한 노름마약섹스중독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그가 왜남자다움을 유독 강조하며 Macho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가하는 의문이었다. 

 

물론 텍사스라고 하는 지리적인 특성도 한몫하지만,

작은 집에서 독신으로 살고 있던 그가 AIDS 판정을 받고 

소속된 둥지를 떠날 때도 잊지 않고 챙겨 나오는 유일한 유산은 두 가지 뿐이다.

그중 하나는 집안 여기저기 숨겨 놓았던 자신의 생명과 뒤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진 돈과 아마추어 화가였던 엄마가 그린 꽃그림이 전부다.

그에게 있어 그림이 갖는 의미는 엄마에 대한 사랑의 기억과 모성애를 향하는 심리적인 상징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엄마가 그린 그림을 여의사 이브 삭스(제니퍼 가너)에게 선물로 주는 것은

죽음의 문턱에 있는 자신을 걱정해 주고 치료해준 행위에서

엄마의 따뜻한 모성애적인 사랑을 보았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는 이브에게 성적인 접근보다는 심리적인 사랑을 더 편안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과 동물에 있어 공통점은 강한 모성애라고 할 수 있다.

모성애maternal affection 母性愛는 생활력이 불충분하고 발달이 미약한 유아에 대해서 어머니가 보이는 애정을 말한다.

모성애는 보호염려돌봄접근접촉생리적심리적 욕구를 만족 시키는 행동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어미가 어린아이를 돌보지 않는 모성애박탈maternal deprivation 母性愛剝奪을 경험한 아이는

심리발달에 나쁜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론 우드루프의 어렸을 적 삶은 자신의 직업과 똑같은 전기공이자 무뚝뚝한 아버지와 그림을 그리며 

밖으로만 돌았던 엄마에 대한 기억이 전부다.

그는 유아기부터 돌봄과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성장한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낸 것이다.

모든 생명체의 공통점이기도 하겠지만 특히 어린아이에게 있어 부모의 사랑은 커다란 의미가 있다.

그것은 유약하고 불완전한 어린 생명체가 체감할 때부모의 돌봄으로 생명유지를 보장 받으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하게 안전한 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순탄하게 경험하지 못하고 유년기를 보낸 아이들은 정서가 불안정하며 

중독적인 증상에 취약점이 들어나기도 한다.

 

론 우드루프는 엄마에게 얻지 못한 안정적인 사랑에 대한 끊임없는 갈증을 해소하려는 특유의 몸짓을 보인다

 

첨부파일 155798857941781d3f7d44bb2f4ad03f2bb943d678.jpg (129.14KB) [65] 2021-07-19 14:56:53
이전글 변호인辯護人 - Dilemma
다음글 The Wolf of Wall Street – 불안과 중독의 심리